본문 바로가기
경제.시사 정보

" 대선, 고3도 유권자! 투표 방법·주의사항 완벽 정리(2025)

by sunnytree 2025. 5. 3.

2025 대선, 고3 유권자들도 투표할 수 있습니다! 만 18세로 첫 선거권을 가진 고3 학생들이 꼭 알아야 할 투표 방법과 주의사항을 총정리했습니다. 이번 선거, 제대로 알고 참여하세요.


📚 목차

  1. 고3 유권자, 2025 대선 투표 가능할까?
  2. 만 18세 첫 선거권의 의미
  3. 고3 유권자 투표 방법은?
  4. 투표 시 주의사항
  5. 고3 유권자 Q&A
  6. 마무리: 고3 첫 투표, 당신의 권리입니다

1. 고3 유권자, 2025 대선 투표 가능할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고등학교 3학년생도 투표할 수 있습니다.
만 18세 생일이 2025년 4월 11일 이전인 학생이라면 유권자 자격이 주어집니다.
2020년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선거권 연령이 만 18세로 낮아지면서 고3 학생들도 대선 투표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죠.

주의: 만 18세 생일 기준일이 지난 학생만 가능하므로 생일 확인 필수!


2. 만 18세 첫 선거권의 의미

만 18세 선거권은 청소년들이 대한민국 정치에 첫 발을 내딛는 중요한 기회입니다.
투표권은 단순한 권리가 아니라 나의 목소리를 내는 첫 번째 참여입니다.

👉 교육적 의미:
학교에서 정당, 정책에 대한 비판적 사고 훈련과 민주주의 학습의 연장선.

👉 사회적 의미:
청소년의 정치 참여 확대 → 정책에서 청소년 권익 반영 가능성 증가


3. 고3 유권자 투표 방법은?

고3 유권자라도 성인과 동일한 방법으로 투표합니다.

1️⃣ 선거일 투표소 방문

  • 시간: 오전 6시 ~ 오후 6시
  • 준비물: 주민등록증 or 청소년증 or 운전면허증
  • 투표소: 주민등록상 주소지의 지정 투표소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2️⃣ 사전투표 참여 가능

  • 사전투표일: 2025년 6월 5일(목) ~ 6월 6일(금)
  • 장소: 전국 사전투표소 어디서든 가능

3️⃣ 투표 절차

  1. 본인 확인 → 2. 투표용지 수령 → 3. 기표소에서 기표 → 4. 투표함에 투입

투표

 


4. 투표 시 주의사항

고3 유권자가 처음 투표할 때 특히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 금지사항

  • 기표소 안에서 사진 촬영 금지
  • 투표 인증샷 투표용지가 보이도록 찍으면 안 됨 (무효 처리 가능성)
  • SNS에 특정 후보 지지 표시 사진 게시 시 공직선거법 위반될 수 있음

📌 복장 관련

  • 학생이 교복 입고 투표해도 상관 없지만, 정치적 상징물(로고, 뱃지 등)은 착용 금지

5. 고3 유권자 Q&A

Q1. 사전투표도 참여 가능한가요?
→ 네! 전국 어디서나 사전투표소 방문 가능합니다.

Q2. 청소년증으로도 투표할 수 있나요?
→ 네! 청소년증도 신분증으로 인정됩니다.

Q3. 고3 학생 신분인데 학교에서 투표하러 가도 되나요?
→ 네! 수업일이라도 투표 참여는 법적으로 보장된 권리입니다.


6. 마무리: 고3 첫 투표, 당신의 권리입니다

2025 대선에서 고3 유권자 여러분의 한 표는 미래를 만드는 소중한 권리입니다.
첫 투표, 어렵지 않아요!
“누군가를 위한 한 표”가 아닌, “나를 위한 한 표”를 던져보세요.

🔗 더 자세한 정보와 투표소 위치 확인은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