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수능에서는 '사탐런' 현상이 두드러졌습니다. 이는 자연계열 수험생들이 과학탐구 대신 사회탐구 과목을 선택하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중상위권 대학들이 자연계열 모집단위에서 과학탐구 응시 의무를 완화하면서 더욱 가속화되었습니다.([진로엔뉴스][1], [연합뉴스][2], [조선에듀][3])
목차
- 2025 수능 탐구 영역 응시 현황
- 미적분 선택자들의 탐구 과목 선택 경향
- 사회탐구 과목별 응시율 및 증가율
- 과학탐구 과목별 응시율 및 변화
- 미적분 선택 시 유리한 사회탐구 과목 선택 전략
- 결론 및 향후 전망
2025 수능 탐구 영역 응시 현황
2025학년도 수능에서는 총 463,486명이 응시하였으며, 이 중 탐구 영역 응시자는 447,507명으로 전체의 96.6%를 차지했습니다. 탐구 영역 선택 분포는 다음과 같습니다:([smileLee][4], [조선에듀][3])
- 사회탐구만 응시: 225,135명 (48.6%)
- 과학탐구만 응시: 174,649명 (37.9%)
- 사회+과학탐구 혼합 응시: 47,723명 (10.3%)([smileLee][4])
이는 전년도에 비해 사회탐구 응시자가 증가하고 과학탐구 응시자가 감소한 결과로, '사탐런'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조선에듀][3])
미적분 선택자들의 탐구 과목 선택 경향
수학 영역에서 미적분을 선택한 수험생은 227,232명으로 전체 수학 응시자의 51.3%를 차지했습니다. 이 중 상당수가 탐구 영역에서 사회탐구를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는 자연계열 수험생들이 과학탐구보다 상대적으로 공부 부담이 적은 사회탐구를 선택하여 수능 성적을 최적화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됩니다. ([조선에듀][3], [연합뉴스][2])
사회탐구 과목별 응시율 및 증가율
사회탐구 과목 중 가장 많은 수험생이 선택한 과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회·문화: 164,456명
- 생활과 윤리: 157,938명
- 윤리와 사상: 39,787명([조선에듀][3], [smileLee][4])
이러한 과목들은 전년도에 비해 응시자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사회·문화와 생활과 윤리는 높은 응시율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해당 과목들이 비교적 학습 부담이 적고, 수능에서 안정적인 점수를 확보할 수 있다는 인식 때문으로 보입니다. ([조선에듀][3])
과학탐구 과목별 응시율 및 변화
과학탐구 과목 중 가장 많은 수험생이 선택한 과목은 다음과 같습니다:([연합뉴스][2])
- 지구과학Ⅰ: 142,672명
- 생명과학Ⅰ: 129,818명
- 물리학Ⅰ: 58,049명([조선에듀][3])
그러나 전반적으로 과학탐구 과목의 응시율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자연계열 수험생들이 사회탐구로 이동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특히 화학Ⅰ과 물리학Ⅰ의 응시율 감소가 두드러졌습니다. ([조선에듀][3])
3월 모의고사 사탐런 현상!
대표적으로 생윤 2만3천명, 사회문화 4만6천명 증가했습니다.
3월 모의고사에서 엄청나게 사탐 응시자가 증가했습니다. 사탐런은 이제 필수가 되었습니다.
메디컬 계열이거나 대학교에서 과탐을 지정하지 않으면 이제 과탐이 아니라 사탐이 유리하게 되었습니다.
고3이라면 지금 고민하고 결정해야 할 시기 입니다.
만약 사탐을 선택하신다면....기말 끝나자 마자 사탐을 시작해야 합니다.
미적분 선택 시 유리한 사회탐구 과목 선택 전략
미적분을 선택한 자연계열 수험생이 사회탐구를 선택할 경우, 다음과 같은 전략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사회·문화: 높은 응시율과 비교적 안정적인 난이도로 많은 수험생이 선택하는 과목입니다.
- 생활과 윤리: 개념 위주의 학습이 가능하며, 학습 부담이 적은 편입니다.
- 윤리와 사상: 철학적 사고를 요구하지만, 체계적인 학습을 통해 고득점을 노릴 수 있습니다.
단, 대학별로 탐구 과목에 대한 변환표준점수 적용 방식이 다르므로, 지원 대학의 반영 방식을 사전에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합뉴스][2])
수능 최저 충족 가능성? 모의고사로 예측하는 올해 수능 전망
수능 최저 충족 여부는 수시 합격의 가장 중요한 관문입니다. 하지만 모의고사 성적만으로 최저 충족 가능성을 예측할 때, 어떤 지표를 봐야 할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목차수능 최저
sunny129-moon.tistory.com
내신 사회 탐구 선택, 과목별 유불리와 공부법 완벽 분석!
내신 사회 탐구 선택은 성적을 좌우할 만큼 중요하지만, 어떤 과목을 고를지 고민하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내신 사회탐구 선택의 유불리와 과목별 공부법을 꼼꼼하게 정리했습니
sunny129-moon.tistory.com
결론 및 향후 전망
2025학년도 수능에서는 '사탐런'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자연계열 수험생들의 전략적인 선택으로 해석됩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경향은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수험생들은 자신의 강점과 지원 대학의 반영 방식을 고려하여 탐구 과목을 선택해야 할 것입니다.([연합뉴스][2])
-출처
[1]: "사탐런 수험생 71.6%, 과탐보다 사탐 성적 더 높았다! - 진로엔뉴스"
[2]: "까다로웠던 수능 사회탐구…당락 열쇠 되나 - 연합뉴스"
[3]: [유성룡의 입시 포인트] 2025학년도 수능시험 채점 결과 분석 - 조선에듀"
[4]: "2025 수능, 채점 결과(과목별 등급컷, 표점) - smileLee - 티스토리"
'입시정보 > 입시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화학 세특 보고서 작성법! 제목·요령·발표까지 완벽 가이드 (0) | 2025.05.10 |
---|---|
수능 최저 충족 가능성? 모의고사로 예측하는 올해 수능 전망 (0) | 2025.05.10 |
고교학점제 도입, 왜 혼란이 클까? 현장 반응과 개선 방안 총정리 (2) | 2025.05.09 |
2028학년도 대학입시제도 개편안 완벽 분석 (통합사회·통합과학 예시문항 포함) (1) | 2025.05.08 |
2025 검정고시로 대학가는 방법|시험일정부터 등급 환산 완벽 정리! (0) | 2025.05.08 |